티스토리 뷰
목차
반응형
한국장학재단의 학자금대출은 크게 일반상환과 취업 후 상환으로 나뉩니다. 두 제도 모두 학비 부담을 덜어주는 역할을 하지만, 상환 시기와 방식에 중요한 차이가 있습니다. 아래 비교표를 통해 한눈에 확인하세요.
1. 일반상환 학자금대출
- 국내 대학(대학원 포함) 재학생 대상
- 저금리(2025년 기준 연 1.7%)
- 졸업 후 일정 기간 내 원리금 분할 상환
- 거치기간 선택 가능(0~3년)
2. 취업 후 상환 학자금대출
- 만 35세 이하, 학부생 대상(대학원 불가)
- 저금리(2025년 기준 연 1.7%)
- 연소득 2,280만 원(2025년 기준) 이상일 때부터 상환 시작
- 무기한 거치 가능(소득 발생 전까지)
3. 비교표
구분 | 일반상환 학자금대출 | 취업 후 상환 학자금대출 |
---|---|---|
대상 | 대학·대학원 재학생 | 만 35세 이하 대학(학부) 재학생 |
상환 시작 시기 | 졸업 후 즉시(또는 거치 후) | 연소득 2,280만 원 이상 발생 시 |
거치기간 | 0~3년 선택 가능 | 소득 발생 전까지 무제한 가능 |
대출금리 | 연 1.7% | 연 1.7% |
대출 한도 | 등록금 전액+생활비(학기당 150만 원) | 등록금 전액+생활비(학기당 150만 원) |
상환 방식 | 원리금균등·원금균등분할 상환 | 소득에 따라 원천징수 방식 상환 |
대학원 가능 여부 | 가능 | 불가능 |
4. 선택 가이드
- 졸업 후 일정 소득이 확실하다면 → 일반상환
- 취업 시기·소득이 불확실하다면 → 취업 후 상환
- 대학원생이라면 일반상환만 가능
결론
학자금대출은 상환 계획에 따라 선택이 달라져야 합니다. 본인의 졸업 후 계획, 취업 가능성, 소득 수준을 고려하여 일반상환 또는 취업 후 상환 중 유리한 제도를 선택하세요.
Q&A
Q1. 두 대출을 동시에 받을 수 있나요?
A. 동일 학기에 두 제도를 중복 신청할 수 없습니다.
Q2. 일반상환에서 취업 후 상환으로 변경 가능한가요?
A. 일부 조건 충족 시 가능하며, 한국장학재단 상담 후 진행됩니다.
Q3. 취업 후 상환은 해외 취업 시에도 적용되나요?
A. 네, 해외 소득도 상환 기준에 포함됩니다.
반응형